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게시판 > 정치게시판


게시물을 뉴스나 다른 곳에서 인용하실 때에는 반드시 보배드림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글쓰기 수정 삭제 목록
  • 댓글 (8) |
  • 내 댓글 보기 |
  • 레벨 대위 3 개굴김차장 24.06.11 18:04 답글
    상임위명단이나 내라고좀 전해주세요
  • 레벨 대령 1 하느리파래 24.06.11 18:17 답글
    윤기생충 박멸하자.
  • 레벨 준장 편견없이봅시다 24.06.11 22:34 답글
    ㅎㅎㅎㅎ

    그러니까 국민에게 돌아갈 돈을 해외 업체에게 주자는 거지? ㅎㅎㅎㅎ
  • 레벨 준장 편견없이봅시다 24.06.11 22:36 답글
    ㅎㅎㅎ

    액트지오... ㅎㅎㅎ

    컨설팅이랑 트레이닝인데? ㅎㅎㅎ

    석유에 대한 유명 기업이야? ㅎㅎㅎㅎ

    https://act-geo.com/
    ACT-Geo provides geoscience consulting and training services.

    가정집이 본사, 연매출 3,700만 원? '액트지오' 논란 속 방한
    https://imnews.imbc.com/news/2024/econo/article/6605115_36452.html
    액트지오의 본사 주소는 미국 휴스턴 지역의 주택가로 나와 있는데, 알고 보니 아브레우 박사의 집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재 해당 주소지는 부동산 매물 사이트에 월세 7천 달러의 임대 매물로 나와 있기도 합니다.
    액트지오의 미국 법인명은 '아브레우 컨설팅 앤 트레이닝'.
    텍사스 주정부와 세무국에는 자신들의 업종을 '직업훈련과 관련 서비스'라고 신고했고 '지리 컨설팅'을 부업종으로 밝힌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미국 인구조사국에 등록된 기업정보에 따르면 직원은 아부레우 박사 단 1명이며 연평균 매출도 2만 7천 달러, 우리 돈 약 3,700만 원에 그친다는 보도도 나왔습니다.
    그런데 지난해 매출이 유독 530만 달러, 약 70억 원으로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우리 정부 프로젝트 수주와 관련 있는 것 아니냐는 의문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호주 우드사이드 "韓가스전 장래성없다" 논란…정부 "사실 아냐"
    https://www.yna.co.kr/view/AKR20240606039300003?input=1195m
    당시 우드사이드는 같은 광구에서 대규모 가스전을 발견할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 판단해 탐사사업 재개를 희망했으며, 석유공사가 이에 동의해 양사가 각각 50% 지분으로 조광권을 다시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우드사이드는 지난해 1월에 이 사업에서 철수했다.
  • 레벨 준장 편견없이봅시다 24.06.11 22:36 답글
    ㅎㅎㅎ

    액트지오... ㅎㅎㅎ

    컨설팅이랑 트레이닝인데? ㅎㅎㅎ

    석유에 대한 유명 기업이야? ㅎㅎㅎㅎ

    [단독] 우드사이드 철수 직전 '대게·집개' 탐사…"리스크 크다" 평가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200399&pDate=20240611
    이번에는 동해 유전 개발과 관련해 JTBC가 새롭게 취재한 내용입니다. 16년 가까이 동해를 탐사한 호주 업체 우드사이드가 장래성이 없다는 이유로 철수했다는 논란에 대해서, 정부는 "장래성이 없어서가 아니라 회사 합병 문제 때문이었다"고 해명했습니다. 저희는 합병 직전 만들어진 보고서를 입수했는데, 여기에는 우드사이드가 탐사한 동해 지역에 대해서 이런 평가가 담겨있습니다. 'high risk (하이 리스크)', 사업을 계속하기에는 위험부담이 크다는 게 이 보고서 결론입니다.

    "액트지오 체납은 실수, 계약 당시 몰라 죄송"…진화 나선 정부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200171&pDate=20240610
    동해 석유 가스 매장 가능성을 분석한 미국 액트지오사가 세금을 체납해 법인 자격이 박탈됐단 논란에 대해 정부가 계약할 땐 몰랐던 일이라며 사과했습니다. 그러면서 회계사 착오로 벌어진 일이었다고 설명했는데, 액트지오를 둘러싼 의혹이 불거질 때마다 정부가 대신 해명을 내놓고 있습니다.
    액트지오가 4년 동안 총 200만 원가량의 법인 영업세를 체납했단 논란이 커지자, 진화에 나선 겁니다.
  • 레벨 준장 편견없이봅시다 24.06.11 22:37 답글
    ㅎㅎㅎ

    그러게말야...

    제발 헛소리가 아니었으면 좋겠다...

    이미 조사 했을 때 추정 매장량 1억 배럴이었다고 하던데 말야... ㅎㅎㅎㅎ

    ‘시추공 1개 1000억’ 경제성 평가 시기상조…업계 “파 봐야 안다”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1143323.html

    '영일만 석유 탐사' 속도전…"5번 안에 성공할 것" 연말 시추 계획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199379&pDate=20240604
    윤석열 대통령이 나서서 어제(2일) 갑자기 발표한 포항 영일만 석유 탐사와 관련해 정부가 속도전에 돌입한 모양새입니다. 일단 오늘 '대왕고래'라는 프로젝트 이름과 함께 연말부터 실제 시추탐사에 나선다는 계획이 공개됐습니다. 또 이미 한 달 전 노르웨이 업체와 하루 배 사용료만 6억 5천만원에 달하는 계약을 맺었단 사실 역시 알려졌습니다. 정부에서는 어제 발표보다 한 발 더 나아가 대통령이 언급한 140억 배럴보다 더 많이 묻혀 있을 수 있다. 이렇게 기대감을 키우는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는데 이런 정부를 바라보는 국민으로선 여전히 궁금증 한 점이 많은 상황입니다.

    잇단 신중론에…'영일만 분석' 업체 고문 "한국 방문해 설명"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199378&pDate=20240604
    이렇게 정부는 자신감과 기대감을 내비치고 있지만 신중론도 적지 않습니다. 이미 탐사해 본 지역 아니냐, 성공률 20%는 추정일 뿐이다. 이런 저런 우려가 있는 겁니다. 이런 부분을 직접 설명하기 위해 석유가 묻혀 있다고 평가한 미국 업체의 고문이 이르면 내일(5일) 한국을 찾습니다.
    석유공사 고위직을 지낸 한 관계자는 "2021년 6-1광구를 시추했을 때 추정 매장량이 1억배럴이었다"며 "불과 몇년 사이 추정치가 140억배럴로 뛴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여당 "산유국의 꿈 이룰 기회"…야권 "국면전환용 꼼수"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199377&pDate=20240604
    정치권은 이틀째 석유 논쟁으로 설전을 벌였습니다. 야권은 '국면전환용'이라며 일제히 혹평을 쏟아냈고, 여당은 산유국의 꿈을 이룰 수 있는 기회라며 적극 지원하겠다고 했습니다.
  • 레벨 준장 편견없이봅시다 24.06.11 22:37 답글
    ㅎㅎㅎ

    그러게말야...

    제발 헛소리가 아니었으면 좋겠다...

    이미 조사 했을 때 추정 매장량 1억 배럴이었다고 하던데 말야... ㅎㅎㅎㅎ

    기자회견 중 한국가스공사 주가 급락…'섣부른 발표' 비판론도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199848&pDate=20240607
    윤석열 대통령 발표로 폭등했던 에너지 관련주 주가가 오늘(7일) 기자회견으로 폭락했습니다. 한국가스공사 주가는 기자회견을 하는 동안에만 8% 넘게 하락했습니다.
    [유승훈/서울과기대 미래에너지융합학과 교수 : 세계 어느 나라도 물리탐사 자료를 갖고 대통령이 발표하는 나라는 없고요. 가능성이 확인된 게 곧 자원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도 아니고 시추를 한 번 해서 (생산에) 성공한다는 보장도 없고.]

    주무부처 고위직도 "대통령 발표 몰랐다"…TF팀 '급조' 논란까지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199847&pDate=20240607
    윤석열 대통령이 동해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을 직접 발표하면서 정작 주무 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고위직들도 일부 이 사실을 모르고 있던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그러면서 주무 부처 '패싱' 논란까지 나오는데 그제서야 관련 TF를 만드는 등 산자부는 내부적으로 혼란스러운 모습입니다.
  • 레벨 준장 편견없이봅시다 24.06.11 22:37 답글
    ㅎㅎㅎ

    올해 년초에 천공이 말했다는데? ㅎㅎㅎㅎ

    들썩이는 에너지주... 천공 발언 나비효과?
    http://weekly.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35059
    윤석열 대통령이 포항 앞바다 석유 시추 지시를 내린 가운데, 역술인 천공이 올해 초 유튜브 영상을 통해 “우리도 산유국이 될 수 있다”고 발언한 사실이 재조명되고 있다. 이에 더불어 4일 오전 이틀 연속 장 초반부터 에너지주도 불기둥을 세우는 모양새다.
    역술인 천공은 지난달 16일 유튜브 채널 ‘정법시대’에 올라 온 영상 ‘금을 대체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할 수 있는지’라는 제목의 영상 강연에서 “우리는 산유국이 안 될 것 같냐. 앞으로 (산유국이) 된다”고 설명했다.

덧글입력

0/2000

글쓰기
검색 맨위로 내가쓴글/댓글보기
공지사항
t서비스전체보기
사이버매장
국산차매장
수입차매장
튜닝카매장
승용차매장
스포츠카매장
RV/SUV매장
밴/승합차매장
오토갤러리매장
국산중고차
전체차량
인기차량
확인차량
특수/특장차
국산차매장
중고차시세
차종별검색
수입중고차
전체차량
인기차량
확인차량
특수/특장차
수입차매장
중고차시세
차종별검색
내차팔기
사이버매물등록
국산차등록
수입차등록
매물등록권 구입
게시판
베스트글
자유게시판
보배드림 이야기
시승기
자료실
내차사진
자동차동영상
자동차사진/동영상
레이싱모델
주요서비스
오토바이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