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이 글을 쓸 의욕을 준 아래의 명언을 남긴 wet의 무지에 경의를 표합니다.
by wet
먼저 현대 군함의 종류별 역할과 기능에 대해 간략하게 써보겠습니다.
------------전략함------------
항모 : 움직이는 공항
구축함 : 거점장악 및 방어
보급함 : 유류와 식량 의료지원
------------전술함-------------
호위함 : 전략함 보조 및 대함방어
초계함 : 연안 탐색 및 호위보조
------------특수함--------------
잠수함 : 적 군함과 잠수함 탐색
상륙함 : 상륙작전 지원
최근 20여년간 다양한 개념과 각 상황별 다른 규모의 군함들이 나오면서
구축,호위,초계의 개념이 많이 옅어졌으나 이 우리해군의 차이점은
공대지 VLS가 있는가? yes 구축함
VLS가 있는가? yes 호위함
년식에 따라 같은 배수량에도 VLS의 무장에 따라 동원되는 전술이 다름으로
이같이 생각하면 쉽게 구분 가능합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위에 개소리가 왜 개소리인지 알아보자면
예로 든 이지스함의 경우 구축함 중 특별하게 대공감지 시스템을 강화시킨 개체임에도
레이더를 높게 설치해야하며 지구가 둥글다는 쌉소리를 당당하게 한다는 겁니다.
일본의 이지스함 입니다.
위의 정신병자는 초록색이 레이다 인줄 아는가 봅니다.
레이다는 검은색이며, 붉은 색은 기만체계, 초록색은 통신용 안테나 입니다.
특히 아래 검은색은 송출센서로 우리가 흔히 아는 이지스의 핵심은 AESA 집적회로가 있는 곳이며
위쪽은 수신부입니다. 둘다 파고에 대한 외력에 의해 송출방해,클러스터 심지어 장비파손등을 고려해서
배수량에 따른 해상환경에 맞춰 높이를 결정합니다.
즉 배수량 3천이면 연안 작전 정도 5천정도면 간헐적 대양 동원 7천 이상은 대양작전
최근 쿼드에 합류하지 못한 우리나라지만 대양작전을 위해 만톤급 이지스함을 건조 배치하기 시작하면서
기존 남해에서 필리핀까지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고군분투 중입니다.
진짜 엄청나게 힘든 해상근무환경 속에서 애국심 하나로 일하시는 해군장병 모든 분들에게 감사를 표합니다.
거짓말이 아니라 제주행 배만 타도 파고 3m짜리에 온 몸이 뒤집어지는데
연안 외곽만 나가도 5m 파고면 ㄷㄷㄷㄷㄷㄷ
근데 이제 대양 나가면 평균 15m랍니다............................ 저는 얼마나 힘들지 상상이 가질 않습니다.
다시 한번 모든 군장성 분들에게 경외와 감사를 올립니다.
위엄쩌는 우리해군의 호위대구함 사진입니다.
초록색의 원이 레이다 입니다. 그럼 이 사진을 보고 또 정신병자가 제일 높은 곳에 설치했으니
내 말이 맞는게 아니냐 하는 개소리를 할까봐 못 박아 두겠는데
저위에 둔 이유는
1. 혼자 돌면서 360를 커버하기 때문에 선체에 가려지면 안됨
2. 작전 해상의 평균파고 아래로 내려가면 안됨
이 둘의 공통점은 레이다의 시야를 가리면 안되기 때문이지
지구가 둥그니까 높이를 올리면 어쩌고같은 개같은 이유가 아니란 거죠 ^^
https://www.bobaedream.co.kr/view?code=army&No=130665&bm=1
줌왈트 인데 발견되기 전에 발견하면 되니까 레이더를 높게 설치하면 된다는 발상으로 미해군의
근본개념을 박살내버린 Wet의 위엄은 군게에 길이 남을지도?
고고도에서 날라오는 미사일이야 수평선이랑 상관 없겠지만 해수면을 따라서 날라오는 씨스키밍 미사일은
지구 곡률 때문에 3~40km 정도에서 탐지가 가능한데 레이더가 높이 설치 될 수록 수직탐지 범위가 넓어지니까요
대충 레이더 높이 10m 당 탐지거리는 10~13km인데 보통 수면에서 35m 정도에 레이더를 달아서 30~40km의 탐지 거리를 확보합니다. 실제 요격은 10~15km 시도하지만 탐지 시간이 길수록 요격 기회가 늘어나니까요
데어링크급에 설치된 SAMPSON 레이더도 그래서 제일 높게 달은 거고 충남급이나 대구급도 마찬가지입니다.
2차세계대전에서 오신분 다음에 80년대 분이 오셨네 이번엔;;
언급하신 씨스키밍 미사일 방어는 지금 AESA 레이더급에 와선 설치위치는 별 상관이 없습니다.
어차피 대부분의 미사일은 40km 즈음에 포착하며 여기서 10km 내외가 바뀐다 해서
미사일 요격 횟수가 바뀌진 않거든요? 현대에 들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다수의 미사일이 근접할때 동시요격을 순간에 몇개까지 쏘아 올릴 수 있나입니다.
때문에 빠른 요격을 위해 셀을 두곳으로 나눈 방식으로 동시요격 능력을 끌어 올린 것이구요.
영국의 경우 참 꿈보다 해몽이라고 항모 호위를 위해 엄청난 양의 센서를 박아넣기 위해
기형적으로 올라간 센서를 저렇게 포장하는게 먹히는걸 보니 재미있긴 하네요.
아 생각해보니 영국은 구축함이 우선타겟이 아니니 자신을 지나가는 미사일에 한번 더
요격 할순 있겠네요. 높게 설치한만큼 최소 인식범위도 상대적으로 낮을테니까요
AESA레이더는 3D로 탐색을 하지만 결국 애도 빔이 직진을 합니다.
하늘에는 장애물이 없으니 수직으로는 몇백키로 탐색이 가능하죠
하지만 수평으로는 지구는 둥글고 빔이 바다를 뚫지는 못하니 수평선 넘어에서 씨스키밍으로 날라오는 미사일은 마치 수평선 보다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 아무리 AESA레이더라도 탐지가 안됩니다.
40km에서 탐지 했을때랑 20km에서 탐지했을 때랑 차이가 왜 없나요?
미사일로 요격 가능한 범위는 10~30km고 20km내에서 탐지 추적 종말유도까지 해야 합니다.
탐지를 해야 요격 미사일을 쏠 텐데
적 대함 미사일 3개를 40km에서 탐지해서 30km부터 요격 시도 하는 거랑
30km에서 탐지해서 10km 이내에서 요격 시도 하는 거랑 요격 기회 차이가 과연 없을까요?
10km 차이면 교전 기회를 1번이라도 더 얻을 수 있는 거리입니다.
생사가 오가는 상황인데 그게 몇 분, 몇 초가 과연 무시될 시간일까요?
그리고 동시 대응 능력은 처리 할 수 있는 표적의 수랑 관련이 있지
탐지와 대응 시간과는 다른 이야기죠
탐지 시간이 짧아서 동시에 미사일을 몇기씩 쏜 다고 해도 10KM내로 들어오면 의미 없죠
미해군과 일본 해상자위대 이지스함의 방공능력에 대한 시뮬레이션 내용 중에 일부입니다. 참고하세요
12기의 백파이어기가 24발의 AS4로 시스키밍 공격시는 24발의 AS4를 요격하기 위해서는 30발의 SM2미사일이 요구됨은 동일하다 여기의 문제점은 해면에 붙어서 함정으로 향하므로 탐지거리에서 차이가 있다. 단 시스키밍의 경우는 비행속도가 마하1.2가 된다. 탐지거리는 AS4미사일이 10ft(3.5m)로 비행하고 탐지레이더의 높이가 80ft(24m)일 때 1.23x(루트80+루트10)=R이 되어 24km가 된다. 속도가 저속인 관계로 대처시간은 1분정도의 시간내에 대응하게 된다.
다만 제가 얘기하는 바는 AESA 레이더가 추앙받는 이유는 단순 감지 능력 뿐 아니라
그 뛰어난 요격능력이 기인하기 때문이라는 겁니다. 언급하셨던 구축함의 비용을 들여
그 같은 감지능력과 무장이 우리해군의 이지스함보다 뛰어나다 할수 있을까요?
물론 영국 함대로 얘기한다면 그들에겐 좋은 전략무기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고 우리 해군의 구축함이 상대적으로 좋지 못한 구축함일까요?
앞서 본문에도 썼지만 모든 병기는 투입되는 환경을 고려합니다.
그게 꼭 바다환경 뿐 아니라 아군의 가치와 함대 전체의 고점등을 평가합니다.
특히 얘기하시는 레이더의 사거리는 함대 전술로 넘어가면 전혀 상관 없는 거리입니다.
왜냐면 미사일 투발 개체 자체를 먼저 발견하니까요.
영국함의 많은 능력이 감지능력에 치우친 것은 과거 요격 성공률이 보증되지 않았을 때
전략자산 보호에 대한 히스테릭한 결과물에 불과합니다.
현대에 와선 미사일의 발견거리가 의미가 없습니다.
오히려 실전조차 미사일의 탐지거리보다 동시대응 능력이 더 중요하다 미해군은 정리했구요
SM-2와 AESA는 신입니다~
AESA 레이더 요격 능력이랑 감지 능력이 중요하다면서 탐지 거리가 중요하지 않다는 건 모순이구요
미사일 발견 거리가 의미가 없다는 말은 처음 들어 보네요
AESA 레이더의 역활은 탐지와 추적입니다. 이 정보를 무기 시스템에 내려주고 요격은 미사일 시스템이 담당합니다. 종말 단계로 유도하는 건 AESA 레이더가 아니라 일루미네이팅이 담당합니다.
그리고 미사일 탐지 거리와 동시 대응 능력은 상호 보완적인 개념입니다. 탐지 거리가 길면 미리 대비할 수 있는 시간이 생기고, 여러 위협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능력 또한 중요합니다. 두 가지가 모두 중요하며, 둘 중 하나를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탐지와 대응 모두가 현대 해전에서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미사일 탐지 거리가 의미가 없다는 말은 좀 이해가 안가네요
함대전이라고 탐지 거리가 의미가 없다고요? 근거가 뭔지 궁금하네요 처음 듣는 주장이라
일루미네이팅의 소요시간을 혁신적으로 줄인게 현 요격체계인데..........
말씀대로 탐지거리와 동시 대응 능력은 상호보완적인 개념은 당연합니다.
다만 지금 이웃님이 얘기하시는 모든 것은 단순 방어만을 상정하신다 생각되거든요?
헌데 현대 교리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방어하기 전에 공격하고 생존한다입니다.
때문에 언급하신 씨스키밍 미사일같은 스텔스에 연연하기 보다는
투발체의 원천감지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뭐 우리가 일방적으로 공격만 막아내야 한다는 가정이라면 님의 말씀이 전적으로 맞습니다.
[방어하기 전에 공격하고 생존한다]>[선제공격 후 생존] 입니다.
함대전과 탐지거리 대목은 앞선 이야기와는 상관없는 얘기같습니다만
현 함대 운용은 조기경보기도 동원되기에 함의 레이더에 드러나기 이전
쌍방이 모두 인지하고 있으며 방향 설정만 되면 AESA의 기능전환으로
스텔스 미사일 역시 70km부터 탐지 요격 가능하다 알고 있습니다.
즉 배수량 3천이면 연안 작전 정도 , 5천정도면 간헐적 대양 동원 ,7천 이상은 대양작전
이건 도데체 어디서 나온 기준 인거죠?
2차대전 태평양 과 대서양 특히 대서양 횡단 수송 선단의 호위함 대부분이 2000톤급 이하 였습니다.
그리고 태평양 전쟁에서 최고의 구축함이라는 불리는 플래쳐급이 2500톤급 입니다.
훨씬 더 많은 숫자를 자랑하는 호위구축함 과 호위함으로 내려가면 2000톤에서 그이하 배수랴 입니다.
전열함 시대에서 주력 전열함인 74문 3급전열함이 3000톤이 안넘습니다.
심지어 목재함임에도 불구하고 대서양,인도양,태평양 고루고루 돌아 다녔습니다.
현재 미해군 알레이버크급으로 통일하고 있는데, 스프루언스급 과 함께 대잠전의 Low급을 담당했던
페리급이 5000톤급도 안되는 4000톤 초반급인데도 항모전단 과 함께 오대양 잘 돌아다녔습니다.
근데 무슨근거로 7천톤급 이상 대양 작전이라고 하는지 참 의구심 이네요.
말미 의 질의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현대 해군의 작전해역과 배수량은 절대적입니다. 배수량에 따른 무장과 작전 지속능력 차이 때문인데
해군전략은 단순하게 무엇을 공격하느냐 뿐 아니라 해역,공역의 사수같은 위치와 시간이
포함됩니다. 그리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잠재적위험,작전유지능력을 평가하기 쉬운 척도가
배수량일 뿐이구요. 또 예로 드신 저배수량의 함이 대양작전에 나가는 것을 이야기 할떄
작전받은 함과 동원되어 기함지시를 받는 수행함의 차이를 구분하셔야 합니다.
쉽게 말해 작전에 4천톤이 동원되는게 4천톤이 해내해야 하는 함대 안의 임무와
함대에게 주어진 작전은 같은 방향성을 가지지만 수행하는데 있어 절대적인 선이 있고
저배수량의 작전지속역량은 고배수량의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이죠.
그리고 이는 앞선 게시물에 간헐적이라 표현했지만 단기작전에 고스펙이 필요없는
해역정찰같은 임무는 3000짜리도 합니다만 대부분 이 역시 다른 임무를 가진
함대의 초계 역할을 수행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위쪽은 수신부입니다.
둘다 파고에 대한 외력에 의해 송출방해,클러스터 심지어 장비파손등을 고려해서
배수량에 따른 해상환경에 맞춰 높이를 결정합니다.
즉 배수량 3천이면 연안 작전 정도 5천정도면 간헐적 대양 동원 7천 이상은 대양작전"
이거 님이 하신 소리에요.
님 말씀 대로 라면 2차대전때 호위함,호위구축함,구축함 등등 아예 대양작전을 못한다는 소리인데
이제 와서 뭔 딴소리를 하고 계세요?...2000톤급 이하도 대양에서 잘만 작전 했습니다.
붉은색 원안의 하얀색 물체 기만체계가 아니라 통신 안테나 입니다.
함정은 위성통신 뿐만 아니라 LinK-11,16,22 데이터 통신 과 HF,VHF등 다양한 주파대의
통신 채널이 있습니다.
정조대왕급도 그렇지만 하얀색 원통 대부분 통신관련 안테나 입니다.
상단 검은색 원은 SPS-62 일루미네이터 즉 SM2 같은 반능동 미사일의 유도조사기 입니다.
참고로 상단 적색원 하얀색 원통 밑에 네모모양이 바로 AN/SPQ-9B X-밴드 대수상,대공 탐지,추적 레이더
입니다.
그리고 지구은 둥글기때문에 직진선을 가지는 레이더는 수평선 밑을 추적 못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레이더는 함정용이든 육상용이든 최대 높은곳에 설치하려 애를 쓰죠.
알레이버크급 기준으로 이지스레이더 해면에서 13~14m 높이에 있고,해면고도 3M~10M로 날아오는
대함미사일을 발견하고 교전시작 하는 거리가 보통 24Km~27Km 입니다.
이거리에서 마하2급 대함미사일이 10m 고도로 날아올때,SM2는 1.5회 고기동성의 ESSM은2회의
교전기회를 얻습니다.
앞서 언급한 AN/SPQ-9B 가 해면에서 대략 30m 높이에 설치 되어 있고, 이거 하나로 5Km 이상의
탐지거리를 이득을 보고, S밴드 보다 분해능이 좋은 X-밴드 사용하고 있어 추적능력이 더 뛰어 납니다.
동일 목적으로 정조대왕급에는 SPS-560K 설치 되어 있습니다.
이것때문에 30Km 조금 넘는 거리에서 포착이 되고, SM2는 0.5회를 ESSM는 1회의 교전기회를
추가로 부여 받습니다.
탐색,추적거리라 1Km라도 늘어나면 "이웃"님이 이야기 하신 교전기회가 조금이라도 늘어
납니다.
"10km 내외가 바뀐다 해서 미사일 요격 횟수 바뀌지 않는다"
도데체 무슨 근거로 이야기 하시는지 전혀 이해를 못하겠네요.
마하2 대함미사일 정도면 초당 거의 700m씩 날아옵니다.10Km이면 14초의 시간 입니다.
특히 이지스함은 인간의 개입이 전혀 없는 스페셜오토 모드의 경우 반응시간이 5초 입니다.
14초면 교전기회가 최소한 두번은 부여 되는 시간 입니다.
영국이 자랑하는 45형 구축함...대두라고 놀림 받죠.
설계상 최대한 높은곳에 SAMPSON 레이더를 설치 하면서 40Km의 탐색추적거리를 얻습니다.
다 이유가 있는겁니다.
그리고 녹색을 레이더로 착각 하는 어떤 분 때문에 강조해서 안테나를 강조한거구요.
저 역시 레이더가 높으면 탐지거리가 넓어진다 <당연하다
레이더가 미사일을 10km 더 먼저 발견하면 요격에 유리하다 <차이없다 입니다.
현대함대의 작전 감시반경을 300km 이상으로 상정하고 있으며
날아오는 미사일 이전에 그 투사체의 원천을 감지해 준비하고 있는 시스템입니다.
앞선 분과 마찬가지로 10km 차이의 스펙의 중요성을 얘기하시지만
이지스 시스템에서 감지 못한 투사수단으로 갑자기 40km에서 미사일이 등장한다!??
잠수함의 VLS 말곤 없거든요? 성공할지 모를 자살공격을 시도할 잠수함은 없습니다.
현대함의 화두는 미사일을 얼마나 더 빨리, 더 많이 쏟아 낼수 있느냐 입니다.
언급하시는 45형은 영국해군의 특성상 넓은 해역과 원정작전을 수행하는 만큼
조기경보기의 지원이 불확실한 작전환경에 맞춰 해상경보기 라는 컨셉으로 개발된 것일 뿐이고
저게 감지자산으로써 능력은 뛰어난 것은 동의하지만 환경에 따른 기형적인 구조인 것이지
단일객체 하나로써의 작전수행능력은 오히려 우리 함보다 뒤쳐집니다.
이게 무슨 논리 래요?
발견을 일찍 한만큼 교전기회가 좀더 부여 되는데 차이가 없어요?
앞서서 마하2급 미사일 기준으로 대응시간이 14초의 시간의 차이가 난다고 했는데 차이가 없어요?
SM2 기준으로 2회 교전기회가 4회로 늘어 나는데 차이가 없어요?.....ㅋㅋㅋ
TCCC때도 교리의 이해를 잘못 하시던데.....ㅋㅋㅋ.....정말 웃기네요.
자료 취합 해놓고 바뻐서 정리를 못하고 있었는데, 조만간 발제 올리 껍니다.
그때도 개나소나 마약성 진통제를 보급 받고, 아프면 알아서 쳐먹는다는 주장이 참 나올지 궁금하네요.
근대 이후부터 군 교리의 방향성은 단 한번도 [공격이 최선의 방어]에서 벗어난 적이 없습니다.
개체 하나의 생존성에 집착하시면서 장비기술의 타당성을 평가하시지만
실전과 개발은 우린 하나의 개체를 잃고 적 개체 3개를 잡는게 병력 손실이 적다는 판단입니다.
특히 기존 정해진 입력 값대로 회피기동하는게 아닌 스스로 판단해 회피기동하는
AI미사일의 요격확률은 굉장히 회의적으로 평가하고 있고
이때문에 더욱 무인함의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판에 너무 옛날 이야기를 하고 계신거에요
요즘은 작전 시 데이타 링크 라는 기술이 있어가지구요 상급함의 정보를 나눠받는 기술이있어요
그래서 앞서 말한 저배수량이 대양에 동원되었을때도 무리없이 작전 진행 할수 있구요
2차대전에 대양작전 가능한 그 함대 끌고와서 지금 3천톱급이랑 뜨면 결과가 어떻게 될거 같아요 ?
우리 밀덕어린이는 좀 상식도 모잘라 보이고 특히 사고나 이해 부분이 심히 우려되네요....
내가 보기엔 님 모자른걸 떠나서 그냥 모지리 같습니다...ㅋㅋ
마치 그 톤수가 아니면 작전못하는것 처럼 이야기 하더니 갑자기 2차대전 군함 과 현대 군함
과 붙으면 누가 이기냐구요....ㅋㅋㅋ
이 정도면 이해력을 떠나서 그냥 뇌병신 인겁니다.
제가 욕할줄 모르고, 비비꼴줄 몰라서 존대어 쓰는거 아닙니다.
먼저 시작하셨으니 뭐라 하지 마셈.
작전환경에 맞게 배수량이 결정된다고 말하는걸 그리 이해하는 본인 이해력이 문제 아닐까?
남들 다 이해하는거 혼자 이상하게 해석해서 지적질하는게 찐따 특징이거등?
좀 책을 읽어 전부터 문맥 이상하게 해석해서 엉뚱한 소리 한다고 계속 말하잖아
군사적인 부분은 올리지 못하겠어요
솔직히 전부 설명해주셔도 모르는 부분도 많고 공부도 많이 됩니다
0/2000자